728x90

 

2025년 3월 28일 서울을 떠나는 KTX 열차표를 예매했다. 그리고...

지도를 구해 설레는 마음으로 이곳 저곳을 도상 답사했다.^^

새만금방조제에 연결된 신시도에서 다리가 건설되면서 육지화된 고군산군도의 섬들을 찾아가보기로 약속한 것이다. '선유도'가 목적지였다.

 

10시 20분. 집을 나섰다. 버스가 온다.

 

지하철 4호선 열차를 상계역에서 만났다.

 

용산역까지 달렸다. KTX용산역까지 지하 통로로 연결되지 않아 지상으로 나가야 했다.

 

용산역이다. 이렇게 신축된 용산역은 처음 본다.... 촌놈...

 

용산역CGV IMAX 극장이 여기 있었구나!!! 영화인들이 "용아맥"이라 부르던데... 그게 여기였어!!! 촌놈!

 

처음 와보니 그야말로 눈이 돌아간다. 일찍 도착했으므로 이리저리 왔다갔다 하면서 신기한 동네 구경을 하였다. KTX 타는 곳을 미리 확인해둔다.

 

출발 시간이 30분도 더 남았는데 혹시 몰라 플랫폼에 내려가 타는 곳도 확인해두었다.^^

 

얼추 출발 시간이 가까워진다. 내려가자.

 

12시 18분 출발하는 '복합열차'이다. 목포행과 여수행 열차가 붙어서 출발한다. 익산역에서 떨어지더라.

 

용산역 KTX 탑승 플래폼. 저쪽으로 좀 가보려 했는데 가지 말라고 방송이 나와 깜짝 놀랐다.

 

출발했다. '63빌딩'이 창밖으로 보인다. 오! 신기하다!

 

13시 39분. 익산역 도착했다. 정시 도착!

 

GPS 로거에 이렇게 경로가 기록되었다.

 

익산역 출입구는 동서 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동문으로 나오니 익산시의 마스코트인 "마룡이"가 반겨주었다.^^ 마룡이는 '마한의 용'에서 따온 이름으로, 익산이 옛 마한의 중심지였다는 역사적 배경을 반영하여 만든 캐릭터라고 한다.

왼쪽에는 "유라시아 대륙철도 승차권"이라는 상징적 조형물로, 익산에서 런던까지 상상 속 철도여행을 표현한 조형물도 만들어져 있다.

 

익산역에 하차하여 모임의 숙소로 예약된 곳까지 '호남평야'를 천천히 혼자 걸어가겠다고 계획을 세웠다. 그래서 생수도 두 병이나 가방에 챙겨 출발했는데, 호남에 거주하시는 호남에게 납치 당했다.

아가페정원, 고스락의 정경을 함께 구경하고 숙소로 향했다.

 

호남의 순대국이다. 동네의 프랜차이즈 순대국과는 다른 세상 음식이다. 몰래 혼자 이 맛있는 순대국과 소주 한잔을 함께 하고 호남평야 속으로 스며들려 했었는데, 호남인과 함께 하게 되었다.^^

 

3시 20분. 아가페 정원에 도착했다.

아가페정원은 전라북도 익산시 황등면에 위치한 아름다운 민간정원으로, 1970년 故 서정수 신부가 노인복지시설인 아가페정양원을 설립하면서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를 위해 조성한 수목 정원이다. 약 50년간 비공개로 유지되다가 2021년 3월에 전라북도 제4호 민간정원으로 등록되어 일반에 개방되어 이렇게 방문해볼 수 있게 된 곳이다.  월요일은 휴무이며, 주말 및 공휴일에는 2주 전에 사전 예약을 해야 한다고 한다.

 

하늘 높이 쭈욱 뻗은 메타세쿼이아 나무들이 울타리처럼 조성된 '메타세쿼이아 산책길'이 아주 근사하다.

 

포토 포인트에 선 멋진 '호남'

 

4시 30분. 고스락은 전라북도 익산시 함열읍에 위치한 독특한 매력을 지닌 장소로,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복합 문화 공간이라고 소개된다.

 

약 3만여 평의 넓은 정원에 4,000여 개의 전통 옹기가 배치되어 있어, 방문객들에게 전통적인 한국의 미를 선사하는 장독 정원이 펼쳐져 있다.

 

장독정원을 조망하기 좋은 전망대도 설치되어 있다. 따로 같이 정원을 감상하고 있는 여행자들.

 

카페와 한식당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그래서 고스락은 전통적인 장독대와 현대적인 카페 문화가 조화를 이루는 공간으로, 자연 속에서 여유를 즐기며 힐링할 수 있는 장소라고 할 수 있겠다.

 

오후 6시 40분. 예약되었던 아주 예쁜 숙소에 도착했다. 1층에 주인이 거주하면서 2층 공간을 빌려주는 곳이었다.

좀 외진 곳에 위치한다. 주변에 편의시설이 없다. 식당, 가게가 없는 것이다. 아......

 

그래서 식육식당을 찾아가 안주로 쓸만한 고기를 구입했다. 채소류는 식당에서 먹고 가야만 준다고 해서 고기만 모셨다. 면 소재지의 작은 마트에서 주전부리를 좀 구입했다.

후발대가 늦은 시간에 도착했다. 과자류가 추가 보급되어 몇 개 줏어 먹고 있었는데...

 

3월 29일 아침이 되어 있더라. 마리하우스와 주변.

 

9시 50분. 차량 2대를 이용했다. 선유도에 도착했다. 선유도 해수욕장에 서서 드론을 날리는 캡틴, 오! 캡틴!

 

선유도는 과거에 세 개의 섬이었는데, 육계사주로 연결되어 하나의 섬이 된 것이라고 한다. 그래서 이제는 세 개의 봉우리 있는 섬이 되었다. 가운데 위치한 망주봉이 가장 유명하다. 우뚝 솟은 돌산이기 때문이다. 망주봉 동쪽으로 넓은 모래 사장이 형성되어 있어 여름이면 많은 해수욕객들이 찾는다. 선유봉과 망주봉을 있는 도로의 동쪽으로는 갯벌이 넓게 발달하고 있다. 그 가운데 길게 형성된 모래톱을 평사낙안이라 한다.

평사낙안 뒷편으로 갯골 너머가 무녀도이다. 오른쪽으로 보이는 빨간 다리가 선유대교이다. 왼쪽으로 멀리 신시도와 무녀도를 연결하는 고군산대교가 보인다.

고군산대교는 1 주탑 현수교로 세계 최장이라는 기록을 갖고 있다고 한다.

 

선유도 남쪽에 위치한 선유봉에서 바라본 선유도의 전경이다. 선유도 해수욕장의 모래사장이 얼마나 넓은지 알 수 있다. 200여m에 이른다고 한다. 해수욕장 끝 부분의 오른쪽이 망주봉, 왼쪽이 남악산이다. 남악산의 대봉전망대에서 선유도와 고군산군대의 섬들의 아름다운 전경을 조망할 수 있다.

 

대봉전망대 방향에서 바라본 선유도의 모습이다. 멀리 선유봉이 보이고 그 오른쪽이 장자대교로 연결된 장자도이다. 해수욕장 가운데 솔섬이 자리잡고 있다. 

 

선유도 한가운데 위치한 망주봉은 웅장하고 기품있는 자태로 선비의 의연함을 떠올리게 하여 선유8경의 하나로 꼽힌다. 옛날 이곳에 유배되었던 어느 선비가 매일 이곳에 올라 한양을 바라보며 임금을 그리워했다던가. 그래서 '임금을 그리워한다'는 의미의 망주봉이라고 불리게 되었단다.

 

대장도의 대장봉과 마찬가지로 선유도의 망주봉은 유문암질 각력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그마가 빠른 속도로 식으면서 형성되는 암석이 유문암인데, 이러한 암석이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고군산일대는 화산활동의 결과로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선유봉 아래의 탑에서 솔섬까지 짚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솔섬에 도착해서는 데크길을 통해 도로로 나올 수 있고, 간조시에는 갯벌을 그냥 걸어도 된다.

 

호떡으로 유명해진 장자도는 장자대교로 연결된다. 선유봉 아래 주차하고 장자교스카이워크를 즐기고 도보 여행하는 것이 편할 수도... 장자도는 주차공간이 부족하다.

 

장자도와 연결된 대장도. 대장봉에 오르면 선유도 방면 등 고군산군도의 뛰어난 전망을 즐길 수 있다.

 

파노라마 사진을 드론으로 만들어보았다. 이상하게 보인다. 360도 파노라마 사진인데, 티스토리에서는 지원을 안해주기 때문이다. 네이버 블로그는 되는데...

 

11시 20분. 일찍 만나본 점심. 경수니네 꽃게탕.

 

선유3구 항구 방파제에 있는 예쁘장한 소원등대.

 

한나절을 신선이 노닐던 섬에서 노닐었다. 오후에는 날씨가 험해져서 섬에서 철수할 수 밖에 없었다. 바람이 거세지고 비까지 내리더라. 매우 아쉬웠다.

 

하늘에서 보는 선유도.

https://youtu.be/xwR-F2hSui8

 

 

오후 1시. 빗속에 선유도에서 철수하면서 무녀도의 무녀도리에 위치한 지질명소를 찾았다.

 

물때다. 물이 점점 들어오고 있다. 절벽이 곡선 모양을 이루는데 이것은 파도의 침식 작용 때문이다. '해식와'라고 부르는 지형이다.

노두는 동서 방향의 5~6m 높이의 절벽인데 회색~암회색의 치밀한 유문암으로 구성되었다. 날카롭게 깨지고 절리가 잘 발달되었는데 절리의 방향은 가까운 거리에서도 크게 변한다. 노두의 단면은, 상부(1~2m)는 수직에 가깝고, 중간 부분은 섬쪽으로 활 모양으로 들어갔으며 하부(1.5m 정도)는 완만한 경사로 해빈으로 이어져서 넓게 드러난다. 상부에는 수평에 가까운 절리가 발달되는 반면 중부와 하부에서는 절리면과 노두의 표면이 거의 일치한다. 해안에는 노두에서 떨어져 나온 판상의 암편들이 분포한다.

노두 표면의 단면은 래피리 응회암에 발달된 다른 지역의 해식와(notch) 단면과 유사하지만 그 생성 과정은 다소 다른 것으로 해석된다. 응회암의 경우 강한 파랑(wave)의 침식작용만으로 형성되지만 무녀도리의 경우에는 파랑에 의한 침식과 절리면의 쪼개짐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출처: https://nangwol.com/?mod=document&page_id=269&uid=7159&utm_source=chatgpt.com )

 

1시 30분. 새만금 간척지를 달리다가 만경대교 부근에서 잠시 멈추었다. 간척지에 풀이 무성하다. 옛날 배웠던 "소림장초" 초원이라는 이미지가 보였기 때문이다. 세렝게티가 될 수 있을까?

 

멀리 보이는 만경대교. 세계 최초의 '비대칭 리버스 아치교'로, 초승달 모양의 독특한 디자인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자인은 주변 항공기 고도 제한선을 고려하여 설계된 결과라고 한다. 공항이 가까이 위치하기 때문에 교량의 고도를 가능하면 낮게 만들기 위해 고민하다 나온 디자인일 것 같다.

 

1시 40분. 심포항에 잠시 들렀다. 바람이 차다. 쎄다.

 

2시 10분. 김제군 광활면의 광활한 간척지 경관을 만났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넓은 간척지의 경지와 주택이 함께 조성되면서 전통적인 집촌과는 다른 독특한 경관이 나타나는 곳으로 유명하다.

 

비닐 하우스로 시야가 가득 채워진다.

 

비닐하우스에서는 대부분 감자를 재배하고 있더라.

 

모임을 파할 때가 다가온다. 기록으로 남긴 사진.

 

독사진도 하나... 남겼다.

 

그리고 익산역으로 달렸다.

 

날씨가 나빠져 예정 시간보다 일찍 헤어졌다. 익산역에서 서울행 기차표를 적절하게 구할 수 있어 다행이었다. 다음은 어딜 가자고 했더라~?

728x90
728x90

"승부"

영어로는 "DUEL"이라고 한다던가... 스티븐 스필버그 감독의 첫 장편 영화도 1971년 제작한 "Duel"이었다. 피곤한 퇴근길에 마주한 거대한 트럭의 공포와 '승부'를 결하는 내용의 영화였다. 심리 스릴러와 서스펜스 연출의 교과서처럼 평가된다던데... 옛날 TV의 주말의 명화인가 하는 프로그램에서 보면서 영화속으로 몰입된다는 게 이런 것이구나 하는 것을 느꼈었다. 블루레이로 최근 국내 출시되어 구입한 것 같은데, 일단 눈에 들어오지는 않는다. 

리들리 스콧 감독은 2021년에 "The Last Duel"을 발표했다. 14세기 프랑스를 배경으로 국왕의 허가를 받아 실행되어 실제 역사상으로 기록된 마지막 "결투" 재판을 다루었다. 블루레이를 구입해 놓았는데, 아직 감상을 안(!)하고 있다.^^

 

"승부"는 긴장을 수반하기에 많은 이들이 관심을 갖는 이벤트이다. 그래서 영화의 소재로도 많이 사용되었고, 사용될 것이다. 그러한 시리즈들 중에 두드러진 영화 한편이 추가되었다. '바둑'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 그냥 바둑을 소재로 했다면 굳이 영화관을 찾지 않았을 것이다. 바둑을 통해 그 속에 관계맺음 된 사람들 사이의 "승부"가 진짜 소재이다.

(영화의 영어 제목을 "The Match"로 한 것은 좀 아쉽다. 이건 그냥 '경기'라는 의미가 강하지 않을까? 둘이 마주보고 승자를 결정하는 것은 위의 다른 영화들처럼 "Duel"이라고 했었으면 어땠을지...^^)

 

그래서 바둑에 대해 잘 알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더 재미있게 영화를 만날 수 있고, 나처럼 바둑에 대해 문외한이라도 어려움 없이 영화를 즐길 수 있다. 그렇게 김형주 감독이 만든 영화이더라.

2021년에 촬영을 마친 영화인데, 2025년에 개봉되었다. 주연 배우 1인의 개인적인 사정 때문이었다 한다.

그래서 영화 홍보 자료에 그 개인적이 사정으로 엮인 주연 배우는 홍보에서 배제되어 있다. 영화표 예매 사이트에 공개된 스틸컷에도 그의 모습은 전혀 볼 수 없다. 

 

하지만 영화 속에서 "승부"를 결하는 두 주연 배우의 연기는 진짜를 '승부'를 하는 듯 했다. 스승에 바둑은 그렇게 하는 것이라고 어린 제자를 가르쳤고, 제자는 스승의 호통에 주눅들어 있다가 마침내 스승의 바둑과는 결이 다른 자신만의 길을 찾아내 성큼성큼 나아간다. 스승을 승부에서 이겨내면서...

그렇게 하나의 승부가 마감된다.

 

그리고...

제자와의 승부에서 모든 것을 내주어야 했던 스승은 잠시 방황을 하다가 그를 걱정하고 밀어주는 주변 사람들의 도움으로 다시 "자신의 길"을 찾아 낸다. 다시...

그리고  이어진 제자와의 "승부" 이후 웃는다.

바둑에서의 승부란 그런 것이란다. 이기기도 하고 지기도 하고 그런다고. 그러면서 중요한 것은 자신과의 싸움이라고 한다. 

 

2시간짜리 영화다. 대개의 경우 중간에 극장에서 시간이 얼마나 지난 것인가 막 궁금해지곤 한다. 하지만 이 영화는 달랐다. 어~ 하는 사이에 2시간이 지나가버렸다. 몰입감이 장난 아니다. 두 배우의 저력 있는 연기와 그것을 제대로 엮어낸 감독의 힘이 크게 보인다. 과감하게 곁가지를 치워내고 큰 이야기 줄기에 집중한 것이 주효했다고 생각된다.

개인적인 문제로 이 좋은 영화의 개봉은 여러 해 지체되게 한 주연배우의 개인적인 사정이 안타깝다. 제작사에서 고민을 많이 하다가 개봉을 결정한 것으로 안다. 덕분에 그래서 간만에 좋은 영화를 만날 수 있었다.

 

상영관을 나서는데 극장 한쪽에 바둑판에 세팅되어 있었다. 홍보 소재인 것 같았다. 바둑의 'ㅂ'도 모르는 둘이 "승부"를 겨루는 모습을 만들어 보았다.

(원래 이 이미지 제작 과정은 그게 아니었지만, 그냥 그렇다고 친다.^^)

 

극장에 여전히 사람이 안보이더라. 이 좋은 영화를 4명이 관람하다니...

728x90
728x90

 

2025년 3월 18일 오후 4시. 화순군 사평면 사평리의 상사마을을 방문하였다.

 

임대정 본가가 있는 곳이었다.

 

임대정 본가는 임대정 원림을 경영하던 곳이었다.

임대정 원림은 철종 때 병조참판을 지낸 사애 민주현이 관직을 그만두고 귀향하여 전통적 정원형식의 원림을 조성한 곳으로 국가유산 명승으로 지정되어 있다.


 

2025년 3월 19일 오후 1시. 물염정을 방문하였다.

 

창랑천의 화순적벽을 찾아왔다. 물염적벽을 찾아왔다.

 

물염정은 화순적벽 중 하나인 물염적벽을 마주하고 있는 곳에 물염 송정순이 16세기 중엽에 건립한 정자이다.

 

물염정전승비 등 많은 비석들이 주변에 세워져 있다.

 

명승 화순적벽과 물염정.

 

김삿갓도 찾았던 곳이라고 시비가 건립되어 있다.

 


 

3월19일 오후 3시. 송석정에 도착했다.

 

송석정기적비가 세워져 있다.

 

송석정은 학포 양팽손의 증손자인 양인용이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여 1613년에 건립한 정자이다. 주변의 뛰어난 경치와 어우러진 곳이라 많은 시인 묵객들이 다녀가면서 150여 개의 시액을 남겼다고 전해지나 현재는 30개의 시액만 남아 있다. 추사 김정희의 글로 알려진 "송석정" 편액도 있다.

 

정면 3간, 측면 3간의 거의 정방형에 가까운 팔작지붕 정자이며, 정중앙에 1간의 온돌방이 있고 나머지는 우물마루를 깔았는데 이는 이 지역 정자 건축의 규범을 고스란히 간직한 것이어서 역사적으로도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3월 19일 오후 3시 30분. 연주산 아래를 흐르는 지석천을 건너는 능주역 부근의 철교 옆에 위치한 영벽정을 찾아왔다.

 

映碧亭은 지석천의 맑은 물에 투영된 연주산의 경치를 운치있게 바라볼 수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건립자나 건립 연대가 확실치는 않으나 1500년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물염정, 영벽정, 송석정, 임대정을 하늘에서 살펴보면...

https://youtu.be/FQmLCFtli1s

 


 

3월 19일 오후 4시 능주면의 정암조광조유배지를 방문하였다.

 

영정이 모셔져 있는 영정각.

 

적려유허비.

번역문.

정암조선생적려유허추모비.

 

유배되어 이곳에서 지냈던 초가집의 모양이 이랬을 것이라고...

 

유배지를 방문하여 이곳저것을 들러보는 여행자.

 

 

이렇게 그렇게 화순의 역사와 문화를 느끼고 경험하고자 하였다.

728x90
728x90

2025년 3월 19일 9시 50분. 만연사 아랫자락의 만연저수지 일대에 동구리호수공원이 위치한다.  그곳을 찾아왔다. 날씨 참 좋다.^^

 

공원 앞의 찻집에서 쉬며 차를 한잔 마신 후 주차를 부탁하고 길을 나섰다.

 

화순읍 동구리에 위치한 동구리호수공원의 만연저수지는 만연사의 뒷산인 만연산에서 흘러내리는 만연천의 물을 모은 저수지이다.^^

 

화순의 농업용수 공급을 목적으로 1945년에 조성된 저수지이지만, 인근 주민들의 휴식공간으로도 이용되고 있으며 주변과 어울리는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갖고 있어...

 

많은 관광객들이 찾고 있는 공간이기도 하다.

 

위치가 만연산 등산로의 초입이기도 하여 많은 등산객들이 들러 휴식을 취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3월 19일 오후 능주에서 화순읍으로 차를 달리던 중 읍내 초입의 야산 위에 빛나는 구조물이 보였다. 네비게이션을 조작하면서 찾아갔다. 개미산전망대였다.

 

 

개미산전망대는 해발 92m 높이의 개미산 정상에 3층 높이로 세워져 화순읍과 주변의 아름다운 풍경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곳이다. 특히 밤에는 화순 꽃강길의 음악 분수 공연과 함께 아름다운 야경을 감상할 수 있어 화순의 새로운 관광 명소로 떠오르고 있다.

 

꽤 넓은 주차공간이 확보되어 있으며 주변을 조망하기 좋고 전망대에는 넓은 테라스와 카페가 위치하여 주민 및 여행객들의 새로운 쉼터로 각광을 받고 있다.

 

전망대 옥상에서 화순읍내의 랜드마크인 힐스테이트를 배경으로 인증사진을 남기기...

 


 

3월 19일 6시. 저녁 식후에 화순읍내 산책을 나섰다.

 

읍내 중심에 위치한 고인돌전통시장이다.

 

시장구경을 나선다~~~~~~^^

 

북적이는 전통시장의 구경을 상상하고 나섰는데, 좀 많이 당황스러웠다. 아무도 안보인다.

 

시장 구경을 포기하고 고인돌전통시장 바로 옆에 위치한 남산공원을 올랐다.

 

충혼탑은 우뚝 솟았는데...

 

평화의 소녀상은 아직도 맨발이다...

 

불이 켜진 곰돌이는 따뜻할까?^^

 

멋진 조형물.

 

화순의 랜드마크가 된 힐스테이트.

 


 

집 떠난 지 1주일이다. 집에 가야 하나 하는 고민을 하는 척을 하는 사이에 날이 밝는다.

 

3월 20일 8시 30분. 화순을 출발하여 너릿재터널을 지나 유턴하여 돌아오면 '카페 셀레브' 아랫쪽에 자리잡은 주차장에 자리를 잡았다.

 

골짜기의 서쪽 능선에 위치한 '서당산' 등산 안내도. 너릿재옛길이 서당산의 동쪽 자락을 타고 오르는 경로이다.

 

너릿재옛길의 화순군 구간. 너릿재 정상까지의 경로이다.

 

맨발산책로 구간 공사를 진행하고 있더라.

수고하시는 분들.

 

이정표. 너릿재옛길 정상 방향을 향한다. 0.8km 왔는데 1.3km만 더 가면 된다고 한다.^^

 

무릎이 아프다면서도 일단 가기는 잘가는 옆지기.

 

너릿재 유래비.

 

너릿재 너머의 광주광역시 방향 전경. 너릿재터널을 빠져나온 차들이 광주를 향해 달려가고 있다.

 

고목 아래에 화순 방면을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가 설치되어 있다.

 

화순읍은 안개가 짙게 깔려 있는 것처럼 보인다. 우뚝 솟은 힐스테이트는 랜드마크이다.^^

 


 

두부요리 맛이 국보급이었다. 간판이 국보였나? 그래서 거리가 꽤 되지만 다시 찾았다. 그런데 주소가 담양군이다.

 

그리고 옆지기가 좋아하는 온천에서 1주일 여정을 마무리했다. 화순온천 깔끔하고 좋더라.

씻고 담그고, 푹 익히고 씻고 담그고.....^^

 

서울로 서울로 서울로 달렸다. 그리고 나가 떨어졌다. 피곤하더라.^^

 

 

728x90

+ Recent posts